[야구]/[KBO]

FA 등록일수에 대해 알아보자

와쿠이  2020. 11. 16. 19:15

FA 등록일수란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던 날 수'를 말한다.

구단은 오늘 1군 경기에 뛸 28명 선수의 명단을 매일 경기시작 전에 발표한다. 거기에 등록되는걸 말한다. 그리고 145일 이상이 등록 되면 FA '1시즌'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그렇게 모아서 고졸 9시즌 / 대졸 8시즌을 채우면, "이제 당신은 원하는 팀에서 뛸 자격이 됩니다" 라며 모든 팀과 자유롭게 계약할 수 있는 신분, FA가 된다.

KBO 야구규약 제162조 [FA자격요건]

 

요약

1. 145일까지 못채운 짜투리 시즌들을 모아 145 만들어도 1시즌으로 인정된다.

2. 2006년 이전에 1군 등록돼본 선수는 등록일수 말고 타자-경기수, 투수-이닝으로도 충족 가능.

4. 2022시즌 종료 부터는 1시즌 까준다. 그럼 고졸 8시즌, 대졸 7시즌. (2020년 1월 이사회 결과)

​​

지금부터는 FA 등록일수를 계산할 때 적용되는 세부적인 규칙들이다. 규약에 안나오는 것도 있고, 계산해본 사람들만 아는거다. 이런거 아무데서나 안가르쳐준다.

 

 


 

145일 넘는건 버린다.

시즌 쪼개기도 안된다.

 

 

 

 

[단독] 김민성의 비극·2017년 FA 불가능

트레이드의 비극이라 할만하다. 김민성은 2010년 롯데에서 넥센으로 오는 과정에서 KBO 승인이 늦어지며 FA 자격취득일수에 손해를 봤다. 결국 김민성은 단 하루 차이로 올 시즌 종료 후에도 FA 자

sports.news.naver.com

 

김민성은 단 1일 차이로 FA가 1년 미뤄진 적이 있다.

2007 6일

2008 54

2009 175

2010 138

2011 183

2012 109

2013 190

2014 176

2015 165

2016 192

2017 187

145 한방에 채운게 7시즌이고, 나머지 08+12=163일, 07+10=144일이다.

만약 145 넘치는 날을 다른 해에 낑궈넣을수 있었다면, 혹은 08이나 12에서 1일만 쪼개서 07이나 10한테 줄 수 있었다면, 김민성에게 저런 일이 벌어지진 않았을 것이다. 결국 145 넘는건 버리고, 시즌 쪼개기도 안된다는 뜻.

 

 

국가대표를 뛰면

FA 등록일수를 준다.

 

야구규약 - 국가대표팀 운영규정

제12조 [포상금 및 보상]

국대 참가와 팀 성적에 따라 포인트를 주고, 이걸 포인트당 1일로 적용 가능하다.

 

김재환은 2019시즌이 끝난 후 해외진출 포스팅 신청을 했다. (포스팅은 FA보다 2시즌 적은 7시즌에 자격 충족.) 당시 1군 등록일수만으로는 6시즌 65일을 채워 80일이 모자란 상태였는데, 국대로 채우면서(18아시안게임 우승 25일, 19프리미어 준우승 60일) 포스팅이 가능해졌다. 박병호도 2015시즌 마친 뒤 3일이 모자랐었는데, 14아시안게임 보상으로 채우면서 포스팅.

재미있는건 김현수다. 2018시즌 엘지와 4년 계약을 맺었다. 그런데

 

 

올겨울 최대어는 김현수? 대표팀 경력으로 FA 취득…제도 보완 필요[단독]

LG 트윈스 김현수가 지난 8일 잠실 두산전에서 6-3으로 앞선 9회 투런 홈런을 쳐내고있다. 2020.07.08. 김도훈기자 dica@sportsseoul.com[스포츠서울 윤세호기자] 양현종(KIA)도 이대호(롯데)도 허경민(두산)

sports.news.naver.com

김현수가 국대를 좀 많이 뛰었나. 08올림픽, 09WBC, 10아샨겜, 13WBC, 14아샨겜, 15프리미어, 18아샨겜, 19프리미어. 국대 포인트 모은거만 189일. 국대로만 FA 1시즌 충족이 가능한 상태다. 첫 FA 때는 그냥 1군등록일수만으로도 채워서 하나도 안썼기 때문이다.

4년 계약 맺고 3년 뛰었는데, FA 4시즌은 이미 채운거다. 즉, 김현수는 지금 FA가 가능하다. 물론 신청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그런데 앞으론 실제로 일어날수도 있는 일이다. 내년 도쿄 올림픽이 열리고 우승을 한다면 60일이나 준다. 박민우 이정후 박건우 등은 정말로 FA나 포스팅을 국대덕에 1년 앞당길지 모른다.

 

 

출장 경기나 이닝으로 할 땐

2/3의 '내림'으로 한다.

 

이건 2006년 이전에 1군 등록 돼본 선수에게만 적용이 된다. 현재 대부분 35살 넘는 노장들이라 앞으로는 사라질 규칙이라고 보면 된다.

제 162조 [FA자격요건]에 따라 해당 선수들은 등록일수 뿐 아니라 경기수, 이닝수로도 1시즌 충족이 된다. 타자는 정규시즌 총 경기수의 2/3 이상, 투수는 규정이닝 2/3 이상. 그리고 163조 [기록의 합산]에 따르면, 합하려는 짜투리 시즌 중 더 최근 시즌의 2/3를 기준 잡는다.

오재일의 경우 등록일수로 보면

2016~20 5시즌 / 10(77일)+11(72), 09(65)+13(101), 14(117)+15(95) 3시즌.

그런데 마지막 05(4일)+12(140일)로 딱 1일!이 모자란다.

출전 경기수로 보아도 05(1경기)+12(87경기)=88경기, 그리고 12시즌은 133경기였으므로 2/3인 88.66의 '이상' 이라면 89가 되어 또 딱 1경기 모자란게 아닌가 싶었는데...

 

 

 

[야구野口]장성호, 끝나지 않은 FA의 꿈

 FA(자유계약선수)는 모든 프로 선수의 꿈이다. 장성호(32·KIA)도 마찬가지다. 2006년 FA 계약으로 KIA에 남았던 장성호는 이번 시즌을 마치면 다시 FA ...

news.naver.com

규약엔 '이상' 이라고 써놨지만 소수점을 '버림' 한다는 황당한 규약 적용 전례에 의해 오재일은 FA가 가능해졌다.